2025년 6월 9일 코스피 지수는 2,800pt를 돌파하며 상승 흐름의 추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금 이 추세라면 이재명 정부가 공약으로 내세운 코스피 5,000pt가 어쩌면 가능할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정책 수혜주는 어떤 섹터에서 나올까?
코스피가 11개월 동안 지지부진하다가 대통령 선거를 시점으로 강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역시 우리나라는 정치 그리고 지정학적인 위치가 불안정하고 이것이 경제에 크게 반영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증이기도 하다.
국내 증시를 좌지우지하는 외국인이 5월 이후로 순매수 전환된 것은 매우 긍정적이다.
또한, 코로나처럼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코스피 증시가 크게 상승할 수 있었던 것은 시중에 돈을 풀어서 풍부한 유동성으로 그냥 밀고 올라간 영향이 크다.
이처럼 금리의 방향성은 증시와 부동산에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렇다면 지금 금리 방향성은 어떤 한가?
현재 미국 금리는 하락에 방향성이 맞춰지고 있으며 금리가 바닥일 시점은 아직 멀었다.
지금은 유동성 장세로 코스피 지수가 상승하는 초입 시기이다.
코스피 5,000pt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코스피의 모든 섹터가 고르게 상승해야 한다.
출발 주자는 금융, 증권, 지주사, 건설, 제약/바이오 섹터로 먼저 상승하고 있다.
그 뒤로 아직까지 지수가 오르지 않은 섹터들이 뒤따라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새로운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크게 성장하는 섹터를 찾아보는 것이 개인의 수익률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이재명 정부에서는 반도체, 풍력, 신재생에너지 등이 정책 수혜주가 될 수 있다.
코스피 5,000pt 가 실질적으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이익을 증가시켜야 하며, 주변 환경을 기업 하기 좋게 개선해야 한다.
과연 이재명 정부에서 코스피 5,000pt를 달성할 수 있을지 기대해 본다.
'주식 > 시황 그리고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 이란 전쟁으로 나타나는 주식 시장 변화와 관련주 (6) | 2025.06.15 |
---|---|
비상계엄 영향으로 주식 하락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 (4) | 2024.12.04 |
달러 강세는 주식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까? (12) | 2024.11.17 |
코스피와 코스닥 하락 (7) | 2024.08.02 |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개요와 운영 방안 그리고 종목 (1) | 2024.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