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관심 섹터 & 종목

딥시크(중국AI)가 국내 증시에 주는 영향

by trader-s 2025. 1. 31.
반응형

딥시크가 증시에 미친 영향
딥시크가 증시에 미친 영향

 

 설 명절동안 중국에서는 추론 문제에 특화된 AI모델 R1을 발표했다.

 이는 국내 증시에 상승과 하락 종목으로 희비를 갈라놓았다.

 딥시크는 무엇이고 관련된 종목은 어떤 것이 있을까?

 


 

 [ 딥시크는 무엇인가? ]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해서 인간보다 높은 사고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이 관심을 모았던 게 2016년으로 거의 10년이 다되어 가고 있다.

 결과는 알파고가 4승 1패로 끝났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 AI에서 본격적으로 개발하여 우리는 챗GPT 등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AI는 고성능 반도체 AI에 활기를 불어넣어 엔비디아 주가는 신고가를 경신하는 모습을 기록했다.

 

 AI에서 후발주자인 딥시크를 중국에서 발표하였으며, 미국에서 개발한 기존의 AI와는 차별성을 나타내고 있다.

 개발비가 약 78억 원 밖에 안되고 저비용 칩인 엔비디아 H800을 사용하고 있다.

 성능면에서는 아직까지 오픈 AI가 더 우위에 있지만 저비용 고효율이라는 점을 살펴본다면 딥시크도 무시하지 못한다.

 대규모로 AI에 투자하고 있는 미국에서 AI에 대한 새로운 지각 변동을 일으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미국에서는 엔비디아 시총 846조 원이 증발했으며, 나스닥 주가는 충격을 받아서 2% 하락했으나 다시 상승으로 마감했다.

 

 위와 같은 영향은 설 이후에 우리나라 증시에도 딥시크와 관련하여 수혜 종목과 악재 종목이 그대로 나타났다.

 

 [  딥시크 악재, 수혜 종목 ]

 

 1. 악재 종목

 

 ㄱ) AI가 발전할수록 고성능의 HRM, AI칩, 반도체 등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되었지만, 저사양의 반도체로도 딥시크 같은 AI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였다.

 

  HRM으로 주가가 상승하고 있던 SK하이닉스(-9.86%) 대장주가 급락하자 이와 관련된 반도체 관련 종목인 한미반도체(-6.14%), 테크윙(-8.18%), 이오테크닉스(-9.41%), HPSP(-7.56%) 종목들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ㄴ) 고성능 반도체와 연계되어 전력 설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상승하던 전력, 원자력 관련 종목들이 하락했다.

 

 효성중공업(-11.71%), HD현대일렉트릭(-7.87%), 우진엔텍(-6.21%), 비에이치아이(-6.60%)

 

 2. 수혜 종목

 

 저비용으로도 AI를 개발할 수 있어서 AI소프트웨어 종목인 네이버(+6.13%)와 카카오(+7.27%)가 상승 마감했다.

 

 GRT(+29.92%), 피델릭스(+29.96%), 플리토(+29.91%), 코난테크놀로지(+24.45%), 인스웨이브시스템즈(+22.68%), 마음 AI(+13.15%), 이스트소프트(+11.24%), 크래프톤(+6.12%), 모니터랩(+12.07%), 샌즈랩(+14.44%), 한글과 컴퓨터(+5.95%)

 

 

 중국에서 저가 AI인 딥시크가 개발되어 국내 증시에 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도 4차 산업인 AI 분야가 빠르게 성장해야 할 텐데...

 

 

※ 본 게시글은 투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 개인적인 의견과 생각일 뿐이며, 매수와 매도에 대한 추천이 아닙니다.

※ 매수와 매도는 본인의 투자 판단으로 하시기 바랍니다.

※ 댓글과 공감은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

댓글

trader-s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