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24

금일 시황(21.08.26) 게임주 1. 주요 시세 ㄱ) KOSPI: 3,128.53( -18.28, -0.58%) ㄴ) KOSDAQ: 1,020.44( +2.66, +0.26%) ㄷ) 선물: 410.38( -3.57, -0.86%) 2. 수급 3. 소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 금리를 0.25% 인상했다.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는 크게 영향이 없었다. 최근 며칠 동안 장 초반에 상승했다가 밀리고 장 후반에는 올라온다. 외국인은 매도하고 있고 개인들이 사는 것이 아니 길 바라본다. 종목별로 차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다. 게임 주식에서도 엔씨소프트, 넷마블은 추세를 무너뜨리는 하락이 나왔고, 펄어비스와 카카오게임즈는 10% 이상 상승했다. 이제 돈으로 모두 올라가는 것은 힘든 것 같다. 종목들에 대해서도 선별적으로 상승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2021. 8. 26.
금일 시황(21.08.25) 삼성 투자 관련주, 탄소 중립 관련주 1. 주요 시세 ㄱ) KOSPI: 3,146.81( +8.51, +0.27%) ㄴ) KOSDAQ: 1,017.78( +4.60, +0.45%) ㄷ) 선물: 413.95( +1.47, +0.36%) 2. 수급 3. 소고 금리 결정을 앞두고 위, 아래로 흔들고 있지만,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다. 어제 이재용 회장의 240조 투자로 인하여 다시 화색이 돌은 걸까? 시총 상위주들은 혼조세이지만, 장 후반에 힘을 내서 위로 올린다. 아시아 주변 증시도 모두 상승 중이다. 하지만 금통위 결정을 내릴 때까지는 관망이 맞다고 생각한다. [ 삼성 240조 투자 관련주 ] 1. 모멘텀 ㄱ) 삼성 투자에 따른 반도체 업종 수혜 2. 관련주 ㄱ) 하나마이크론 (상승률: 7.92%, 시총: 5,221억 원) → 업계 선두의 반도.. 2021. 8. 25.
금일 시황(21.08.24) 반도체 장비 관련주, 홍준표 관련주 1. 주요 시세 ㄱ) KOSPI: 3,138.30( +48.09, +1.56%) ㄴ) KOSDAQ: 1,013.18( +20.00, +2.01%) ㄷ) 선물: 412.48( +7.90, +1.95%) 2. 수급 3. 소고 코스피, 코스닥 5일선 위로 회복했다. 미국 증시의 상승세로 한국 증시도 상승세로 출발했지만, 장 후반으로 갈수록 하락세가 깊어졌다. 하지만, 삼성이 반도체, 바이오 등 전략산업 육성에 3년간 240조 원을 투자 할 계획이라는 발표로 상승세를 이끌었다. 삼성전자는 주가가 3.14% 상승했으며, 반도체 관련 장비주들의 상승세를 이끌었다. 제약, 바이오는 이슈가 있는 종목들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상승하였다. 금통위의 금리 결정만 잘 마무리되면 지수는 안정세를 회복할 거 같다. [ 반도체 장.. 2021. 8. 24.
금일 시황(21.08.23) 폴더블폰, 셀트리온그룹 1. 주요 시세 ㄱ) KOSPI: 3,090.21( +29.70, +0.97%) ㄴ) KOSDAQ: 993.18( +25.28, +2.61%) ㄷ) 선물: 404.58( +3.80, +0.95%) 2. 수급 3. 소고 금일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들어왔다. 아시아 증시와 미국 선물도 빨간 양봉을 그렸다. 하지만, 아직까지 상승 반등이라고는 보이지 않는다. 금통위에서 26일 금리인상에 대한 결정을 한다고 한다. 만약에, 하락한다면 매수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삼성전자의 갤럭시Z 폴더 3, 플립 3이 없어서 못 산다고 한다. 그에 따른 핵심 부품인 힌지 관련주들이 상승했다. [ 폴더블 폰 ] 1. 모멘텀 ㄱ) 갤럭시 z폴드3 흥행 기대. ㄴ) 전작 대비 10배 예약. ㄷ) 대중화로 인한 가격 인하.. 2021. 8.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