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24 이중항체 관련주 이중항체는 두 개의 다른 항원을 동시에 인식하는 인공적인 항체로서, 난치성 질환을 중심으로 개발 중이다. 미충족 수요가 많고 아직 상용화한 제품이 몇 개 없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글로벌 이중항체 의약품 시장규모는 2017년 2,000억 원에서 연평균 34% 성장해 2030년 약 10조 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중항체 관련주에 대해서 알아보자. [ 관련 종목 ] 1. 앱클론 ☞ 앱클론을 이중항체 관련주로 선정한 이유? 난치성 질환 치료 목적의 항체 신약 개발사이다. 서로 다은 두 개의 타깃 단백질을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항체 플랫폼 '어피 맴'을 통해 항체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ㄱ) 재무 정보 ㄴ) 차트 2. 에이비엘바이오 ☞ 에이비엘바이고가 이중항체 관련주로 선정한 이유는?.. 2021. 12. 14. 멕아이씨에스 주가 전망 위드 코로나를 실행한 우리나라의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의료기기에 해당하는 주식들이 상승하고 있다. 멕아이씨에스는 인공호흡기를 생산하는 회사로서 생산하는 제품이 부족하다고 한다. 멕아이씨에스의 주가에 대해서 전망해본다. 1. 회사 개요 ㄱ) 멕아이씨에스는 의료기기의 제조, 판매사업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8년 11월 26일 설립되었으며, 2015년 12월 1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다. ㄴ) 응급실 및 중환자실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인공호흡기 및 환자 감시장치를 제조하여 해외 및 국내에 공급하고 있다. ㄷ) 종속회사를 통해서 가정용 양압 지속 유지기의 유통 및 판매를 하고 있으며, 중국 내 인공호흡기 및 환자 감시장치 제조 판매를 하고 있다. 2. 재무 정보 ㄱ.. 2021. 12. 13. 로봇 관련주 지능형 로봇이란 산업용 로봇을 제외한 그 이외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능화된 제품의 로봇을 총칭한다. 지능형 로봇 산업은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산업 전반의 파급효과가 큰 차세대 핵심산업으로 소득 수준의 향상, 고령화 사회의 도래 등으로 향후 수요가 크게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로봇 TF를 신설해 사업화 가능성을 타진하였고 이번에는 상설 조직으로 바꾸었다. 이것은 삼성전자가 미래 신수종 사업으로 로봇을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한다는 의미로 주식시장에서는 해석되었다. 삼성은 그동안 세계 최대 전자, IT 전시회 CES에서 자체 연구 중인 로봇을 선보였다. 2019년 CES에서는 돌봄 로봇 '삼성 봇 케어'를 공개하였고, 올해 1월에는 집안일을 돕는 가정용.. 2021. 12. 13. LG에너지솔루션 최근에 LG에너지솔루션이 시가총액 2위로 상장을 했다. MSCI에 오는 14일 편입 예정이며, 코스피 200 지수에 편입되어 수급에 있어서 긍정적이다. 하지만 LG에너지솔루션은 지금 시가총액이 126.8조 원에 해당한다. 수급에 의해서 주가가 상승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적정 주가를 파악해야지, 주가가 싼 것인지 아니면 비싼 것인지를 알 수가 있다. 그러면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해서 분석해보자. 1. 회사 개요 ㄱ) EV(Electric Vehicle), ESS, LEV 등에 적용되는 전지 관련 제품의 연구, 개발, 제조, 판매를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다. ㄴ) 제품 경쟁력과 대규모 생산능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OEM을 비롯한 다양한 글로벌 고객사를 확보하여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ㄷ) 배터리.. 2021. 12. 12. 이전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8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