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정보/일상정보

4대 보험이란 무엇이며, 기능과 특징 그리고 납부 금액

by trader-s 2022. 11. 29.
반응형

 

 직장 또는 알바 등을 하게 되면 질병, 실업, 노령 등의 위험으로부터 우리의 삶을 보호하게 위해서 일반 사보험과는 다른 4대 보험을 부담해야 한다.

 4대 보험이란 무엇이며 기능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자.

 


 

 [ 4대 보험이란? ]

 

 4대 보험은 보험 가입과 보험료 납부에 강제성이 있어서 본인 선택과는 무관하게 부담해야 하며, 직장의 고용주와 정부도 함께 보험료를 부담한다.

 

 4대 보험 부담은 소득 수준 구간에 따라서 보험료가 정해지며, 소득이 높은 경우 보험료가 높아진다.

 

 만약에 보험금이 지급될 때, 경제적인 약자라고 할지라도 필요한 경우 동일하게 분배되는 사회보장 제도이다.

 

 4대 보험은 국민연금보험,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등 총 네 가지가 있으며 월급을 받는 직장인이라면 이 4대 보험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어야 나중에 본인에게 위험이 왔을 때 적용되는 혜택을 알 수 있다.

 

 

 [ 4대 보험의 기능과 특징 ]

 

 

 1. 국민연금보험

 

 국민연금은 직장을 다닐 때 보험료를 모아두었다가 나이가 들어서 최소한의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 보장 보험이다.

 

 국민연금이 최근에 여론이 좋지 않은 이유는 2056년에는 국민연금이 고갈되는 것에 대한 우려이지만 정부에서 직접 운영하는 소득 보장 제도여서 보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본다.

 

 연금 보험료는 월액 9%로, 이 중 가입자인 근로자가 4.9%, 고용주가 4.5%를 부담하고, 국민연금관리공단이 연금 전체를 관리한다.

 

 

 2. 건강보험

 

 질병이나 사고 등을 당하여 고액의 진료비가 필요할 때를 대비하기 위한 사회보험 제도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건강보험을 관리하며, 직장 가입자는 보수의 2.54%를 직장과 가입자 본인이 각각 50% 부담하게 된다.

 

 만약에 일정한 소득이 없다면 본인의 재산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가 부가된다.

 

 

 3. 고용보험

 

 직장을 잘 다니다가 실업자가 되면 실업 급여를 지급해주며, 다시 취업을 하기 위해서 취업 알선과 실직자의 직업 능력 개발을 하고 있는 사회보험 제도이다.

 

 임금 총액의 평균 1.8%를 부담하며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반 부담한다.

 

 

 4. 산재보험

 

 근로자가 일하는 도중에 당하는 부상이나 질병, 사망, 직업병 등이 산업재해에 해당되며 이를 근로자에게 보상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산재보험은 근로기준법상 국가가 사업주로부터 일정한 보험료를 징수하여 그 기금을 재원으로 사업주를 대신해서 산재 근로자에게 보상해주는 제도이다.

 

 

 [ 4대 보험 모의 계산기 ]

 

 과연 내가 4대 보험을 얼마나 내고 있는 것일까? 직장을 다녀서 월급을 받는다면 4대 보험을 모의로 계산하여 본인이 납부하는 4대 보험을 계산할 수 있다.

 

 1.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https://www.4insure.or.kr/)에 접속한 후에 하단에 있는 4대 사회보험료 계산기를 클릭한다.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2. 4대 사회보험료 모의 계산을 이용하여 월 급여를 입력 후 계산하면 4대 사회보험을 얼마 납부하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만약에 월 급여 2,000,000 원을 받는 다면 377,940원의 보험료를 납부하는 것이다.

 

4대사회보험료 모의계산

 


 

 4대 보험은 형편에 따라서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는 최소한의 사회보장 제도이다.

 

 다만 개인적으로 바라는 점은, 4대 보험이 국가가 관리하고 있는 만큼 사용 내역에 대해서 투명하고 공개하고 엄격하게 관리되어 4대 보험에 해당되는 사람에게 혜택이 돌아가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아는 만큼 권리를 발생할 수 있는 것처럼 4대 보험을 부담하고 있다면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숙지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