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57 2022년 달라지는 주택 정책 2022년에 정부에서 주거에 대한 안전망을 강화하기 위해서 지원하는 주택정책들 중에서 알아두면 유용한 정보들이 있다. 1. 무주택 청년 월세 최대 20만 원 지원 ㄱ) 약 15만 명의 청년을 위해 청년 월세 지원 사업을 3년간 시행한다. (월 20만 원 한도로 최장 12개월간 지원) ㄴ) 지원대상 ☞ 독립 거주 무주택 청년 ☞ 본인 소득 - 중위소득 60% 이하 ☞ 원가구 소득 - 100% 이하 2. 통합 공공임대주택 다자녀 혜택 도입 ㄱ) 2자녀 가정부터 통합 공공임대주택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ㄴ) 통합 임대 공공주택 입주자격 ☞ 무주택 세대 구성원 ☞ 가구 월평균 소득: 중위권 소득 150% 이하 ☞ 총자산: 소득 3 분위(5 분위 기준) 순자산 평균값(2020년, 2.88억 원) 이하 3. 2.. 2022. 1. 16. 3080+ 도심복합사업, 지구 지정 국토교통부는 3080+ 주택공급방안에 따라 선도 후보지로 추진 중인 증산 4, 신길 2, 방학역, 연신내역, 쌍문역 동측, 쌍문역 서측, 부천 원미 등 7곳을 오는 12월 31일(금)에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본 지구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3080+ 주택공급방안의 핵심사업인 도심 복합사업의 첫 번째 본 지구 지정을 통해 약 1만 호 규모의 도심 내 주택공급이 확정됨에 따라 시장 안정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주택 가격이 올라감에 따라서 정부에서는 주택 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펼치려고 하는 것 같다. 도심 복합사업은 그동안 민간 위주로 이루어지던 도심 내 주택공급을 공공이 참여하여,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부담 가능한 가격의 주택을 획기적인 속도로 대량 공급하고, 원주민 내몰림을 방지하는 등 공익.. 2022. 1. 3. 공공 가로, 자율주택정비사업 16곳 선정 및 2차 선정 국토교통부는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주민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 토지주택공사와 함께 시행한 공공참여형 가로, 자율 주택정비사업 1차 공모 결과, 서울 12곳, 수도권 4곳이 선정되었으며 민관 공동시행 사업지구로 최종 선정하여 약 2.8천 호의 주택공급이 가능한 사업지를 확보하였다고 밝혔습니다. 1차로 선정된 지역과 2차 공모 개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가로, 자율 주택이란? ▶ 가로주택은 노후, 불량 건축물이 모여있는 가로구역(폭 6m 도로로 둘러싸인 구역)에서 종전의 가로와 정비기반 시설을 유지하면서 소규모로 주거환경을 정비하는 사업이다. ▶ 자율 주택은 단독(10세대 미만) 또는 다세대, 연립주택(20세대 미만)의 토지 등 소유자가 주민 합의체를 구성하여 스스로 주택을 .. 2021. 12. 30. 1가구 1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부동산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누구나 2021년 12월 8일부터 1가구 1 주택 양도소득세 비과세 기준을 9억 → 12억으로 완화되었다는 소득세법 개정안을 보았을 것이다. 경제정의 실천 시민연합에서 8일 발표한 문재인 정부에서 서울 아파트 시세변동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7년 5월 2,061만 원이던 3.3m2당 가격은 올해 11월 4,309만 원으로 2,248만 원(109%) 상승하였다고 한다. 이는 서울 시내 75개 아파트 단지 11.5만 가구의 시세 변동을 분석한 결과다. 아파트 가격이 두배 상승하였으니, 양도소득세 비과세 기준을 상향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면 1세대 1 주택 비과세를 적용받기 위해서는 어떤 요건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지와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 1세대 1 주택 .. 2021. 12. 9. 이전 1 ··· 10 11 12 13 14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