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주식 공부51

볼린저밴드(Bolinger Bands)란 무엇인가? [ 볼린저밴드의 개념 ] 미국의 존 볼린저가 1980년대 개발했고 2011년에 상표권을 취득했다. 엔벨로프는 추세의 움직임을 확인 후 중심선으로부터 위, 아래로 n%의 구간에서 매매하여 수익을 얻는데 용이한 지표이다. 즉, 평균으로부터 상, 하단 구간까지의 제한적인 변동성을 보여 주는 지표이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변동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볼린저 밴드는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의 개념을 도입하여 변동성이 커지거나 작아질 경우에도 정상적인 주가의 값을 나타낸다. 그러면, 표준편차의 개념을 알아보자. 표준편차는 자료의 값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A와 B 학생의 수능점수를 예를 들어서 이해해보자. A학생은 국어: 65점, 과학: 70점, 수학: 75점 이면 평균.. 2021. 10. 3.
엔벨로프(Envelope)란 무엇인가? 눈이 내리는 겨울이 지나서 봄이 오면 피지 않을 것 같던 꽃이 활짝 핀다. 이와 같이 중심을 기점으로 위, 아래로 소폭만 움직이던 주가가 기존의 범주를 벗어나면서 변동성을 갖는 순간이 온다. 주식은 오랜 횡보 끝에 변동성이 오는데, 이러한 변동성을 대비하기 위해서 엔벨로프와 볼린저밴드 지표를 사용한다. [ 엔벨로프의 개념 ] 사람들이 많이 가는 식당은 일반적으로 음식이 맛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하고 사람들이 많이 듣는 음악은 좋은 음악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인간의 심리이다. 주식을 매수할 때도 주가가 올라가면 사람들이 많이 매수하기 때문에 매수 하지만, 주가가 많이 올랐다고 생각된다면 기다렸다가 싸게 살 기회를 잡을 것이다. 가격은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저항선, 아래쪽으로 지지선이 되어 움직인다는 것.. 2021. 10. 3.
코스피, 코스닥 하락 이유 (대주주 양도 소득세 회피) 9월, 10월 정도 연말이 되면 국내 주식 시장에 어김없이 찾아오는 것이 있다. 그렇다 바로 대주주들의 양도세 회피 물량으로 시장의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주식 하락이다. 대주주 요건에 해당하는 주식 보유금액은 수년간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다. 2017년 25억 원에서 현재 10억 원까지 낮아지면서 연말 증시를 흔들게 되는 가장 큰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주식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큰손 투자자 속칭 슈퍼 개미들이 양도세를 피하기 위해서 대주주로 적용되는 주식을 보유 수량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서 주식 매도가 더욱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에서는 정부의 입장만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주식 시장의 생태와 현실 그리고 형편성 등을 고려하여 정책들을 펼쳐 주기를 고대하고 있지만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 그.. 2021. 10. 1.
일목균형표 의미와 매매 활용 방법 주식을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일목균형표를 공부하는데 조금은 어려운 가격지표가 될 수 있다. 실전 사례를 들어서 일목균형표 의미와 매매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 일목균형표의 의미 일목균형표는 대표적인 선행지표로서 주가를 예측하는 분석기법으로 1935년 일본에서 일목산인이 만들었다. 엘리엇 파동이나 다른 지표들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시간이라는 개념이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변곡점이 생기게 되는 수열을 9, 17, 26, 33, 52, 76... 등으로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일목균형표가 나타내는 예측이 모두 맞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피도 눈물도 없는 냉정한 주식시장에서 아무런 대비나 계획이 없는 것보다는 현재의 주가 상황을 파악하고 미래를 예측해서 대응하는 것이 손실을 줄이고 더 큰 이익.. 2021. 9. 27.
반응형